
-
1Brain MRI / Brain MRA / Brain CT
1) MRI - 자기장과 고주파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인체의 해부학적, 병리학적인
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검사
2) MRA - 혈관기형, 동맥류, 혈관형태를 확인하기 위해 혈관만을 영상화하는 검사
3) 뇌CT - 뇌혈관질환이 의심되는 환자의 경색과 출혈을 감별하고 진단, 뇌 수술 후
경과 관찰 등을 위해 시행하는 검사. 혈관의 상태(협착, 폐색, 뇌동맥류, 파열 등)를
알 수도 있습니다.
* 급성 허혈성 뇌졸중(뇌경색) - 자기공명영상(MRI)에 비해 민감도는 떨어지지만
허혈 부위의 범위를 파악할 수 있으며, 혈관조영술 등을 이용해서 혈관 폐색 여부
등을 알 수 있습니다.
* 급성 출혈성 뇌졸중(뇌출혈) - CT에서 고음영으로 나타나서 빠른 진단에
유용합니다. 또한 혈관 조영술로 뇌동맥류, 동정맥기형 등이 있는지 확인하여
뇌출혈의 원인을 아는데 도움을 줍니다.관련 질환
뇌경색, 뇌출혈, 뇌종양, 뇌 동맥류, 혈관기형 등 뇌 혈관 이상 소견검사 소요시간
약 20~30분 -
2뇌혈류 초음파검사 TCD(TransCranial Doppler)
초음파Probe를 이용하여 내두개골 동맥(Intracranial arteries)과
외두개골(Extracranial). 말초동맥(Peripheral)의 혈류 순환관계를
측정하는 비 침입 혈관(Non-Invasive Vascular) 진료 방법.
뇌혈류의 속도, 방향 등을 파악해 주로 뇌졸중, 색전증, 편두통, 경동맥 이상 여부,
혈관의 폐쇄나 차단, 협착여부 등을 알 수 있는 검사입니다. 편두통 환자에서는
혈관 협착이 없이도 혈류속도가 높게 측정되는 경우가 많아 편두통의 진단 및
치료반응 평가에 보조적인 역할을 합니다. 주 검사 대상은 혈관노화가 본격적으로
진행되는 50세 이후인 분들입니다. 하지만 고혈압, 당뇨, 고지혈증, 뇌졸중 가족력이
있다면 연령이 낮아도 고위험군이므로 정기적인 검사를 권장합니다.관련 질환
뇌졸중, 색전증, 편두통, 경동맥 이상, 혈관 협착검사 소요시간
약 40분~1시간 -
3NCS(신경전도검사) 및 근전도 검사
1) 근전도 검사 - 쉬거나, 힘을 줄 때 근육에서 발생하는 전기적인 활동성을
측정하는 검사
2) 신경전도 검사 - 말초 신경이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전기적인 신호를
전달하는지를 측정하는 검사관련 질환
손목터널증후군, 말초신경병증, 다발성신경병증검사 소요시간
약 20분~1시간 -
4신경인지기능 검사
검사 종류
서울신경심리검사(SNSB) · 간이정신상태검사(MMSE-K) ·
일상생활능력 평가도구(ADL) · 치매척도검사(CDR&GDS) ·
노인우울검사(GDS)검사 소요시간
약 1시간 30분~2시간 (검사 종류, 환자분의 협력도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.) -
5운동 척도 검사 및 노인 정동장애척도검사
검사 종류
본태성 진전 척도평가(CRS) · 하지불안척도검사 ·
신경정신행동검사(NPI-Q) · 도수근력평가 · 자가불안척도평가 ·
우울평가 · 치매연관이상척도검사검사 소요시간
약 20분~40분 소요 (환자분의 답변과 검사협조 정도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.) -
6정동장애 척도 검사
자가 불안 척도 평가 · 우울 평가
